jpi2020

About jpi2020

This author has not yet filled in any details.
So far jpi2020 has created 518 blog entries.

JPI NEWSLETTER 2009. 09 Vol. 2 – Issue No.2

Volume2 Issue No.02 제5회 제주평화포럼 제5회 제주평화포럼이 제주특별자치도, 국제평화재단, 동아시아재단의 공동주최로 [...]

2020-04-03T14:46:14+09:002020년 4월 3일|

[JPI PeaceNet] 코로나19의 팬데믹 선언과 한일갈등의 변곡점

지난 3월 11일 WHO가 결국 코로나19 바이러스 감염증에 대한 ‘팬데믹’ 선언을 했다. 최근 2주 사이에 중국 외 지역에서 발생한 코로나 19 확진자가 13배 늘어나고, 피해국도 3배 이상 증가하면서, WHO는 공식적으로 바이러스의 전 세계 확산을 인정하게 된 것이다. 팬데믹 선언 전까지 WHO는 확진자 증가 속도가 빠른 한국, 이탈리아, 이란 세 나라를 예의주시하였다.

2021-08-27T17:34:05+09:002020년 3월 30일|

[JPI PeaceNet] 전염병과 사회적 도덕: 전염병을 마주한 인간에 대한 소고

이웃나라 중국 우한에서 발생한 것으로 알려진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가 국내로 유입되어 지역으로 전파되자 한국 도시의 풍경은 확연히 달라졌다. 낮 동안 사람들로 북적이던 시장, 상점, 카페, 쇼핑몰, 음식점들은 한산해졌고 저녁이면 불야성을 이루던 유흥가나 술집들도 인적이 훨씬 드물어졌다. 사람들의 일상도 달라졌다.

2021-08-27T17:34:10+09:002020년 3월 30일|

[JPI PeaceNet] 브렉시트의 제2막: 구체적 협상의 단계

2016년 6월 국민투표에서 영국이 유럽연합 탈퇴, 일명 브렉시트(Brexit)를 결정하면서 세계는 충격에 빠졌다. 가장 직접적인 충격은 유럽통합에 가해진 철퇴(鐵鎚)다. 20세기 중반 시작된 유럽통합 운동은 가장 성공적인 지역통합의 사례였고, 21세기 들어서도 단일화폐 유로의 출범이나 중·동유럽으로의 확장 등 상당히 성공적인 행보를 보여 왔기 때문이다.

2021-08-27T17:34:15+09:002020년 3월 30일|

[JPI PeaceNet] 시진핑 외교의 중간 평가

시진핑은 2012년 제18차 공산당 대회를 통해 당 총서기가 되었고, 2013년 3월 제12기 전국인민대표 대회를 통해 국가주석의 지위에 올랐다. 시진핑은 2007년 개최된 제17차 공산당 대회에서 정치국 상무위원에 올라 사실상 차기 지도자로 낙점되어 그간 지도자 훈련을 받아왔다. 시진핑(習近平) 중국 국가주석의 집권 전후 리더십 평가는 극명하게 엇갈린다.

2021-08-27T17:34:20+09:002020년 3월 30일|

동아시아 정세 변화에 대한 중국의 인식과 접근: 동아시아 주요국 간 정상회담을 중심으로

21 세기 들어 가장 주목할 만한 현상 중 하나는 중국의 급격한 부상이라고 할 수 있다. 하지만 중국의 급부상이 오히려 미중 간 경쟁과 대립을 심화시키는 결과를 초래하였고 , 그 가운데 북한 김정은 위원장이 한반도 비핵화에 대한 강력한 의지를 내비치면서 최근 한반도 외교 및 동아시아 안보 상황이 크게 변화하면서 전 세계의 이목이 한반도에 집중되고 있다.

2020-06-03T11:18:15+09:002020년 3월 30일|

동아시아정상회의를 통해 본 정치지도자들의 관심사와 변화의 추이

본 보고서는 2011~16 년까지 EAS 의 의장 성명을 분석하여 동아시아의 정치 지도자들이 다자주의 협력체에서 어떤 관심사에 집중하고 있는지를 보여주기 위한 것을 목적으로 작성되었다 . 이를 통해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를 아우르는 지도자들의 평화와 번영에 대한 인식을 추출할 수 있으리라는 전제에서 출발하였다.

2020-06-03T11:18:29+09:002020년 3월 30일|

동아시아 지역주의와 일본 대외정책 결정요인 분석

최근 일본 대외정책을 분석한 기존 연구들은 대부분 미중 간 세력전이라는 국제정치적 구조 변화에 주목하거나, 정치세력의 전반적인 보수화와 정당 리더십의 특성 등 국내정치적 요인을 강조하고 있다. 하지만 나름의 유용성을 갖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런 분석들은 자칫 결정론적 시각에 머무르거나 사후적 설명에 그침으로써 한국을 비롯한 다른 동아시아 정책 결정권자들에게 적절한 정책적 함의와 전망을 제공하는데 일정한 한계가 있다.

2020-06-23T15:52:57+09:002020년 3월 30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