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pi2020

About jpi2020

This author has not yet filled in any details.
So far jpi2020 has created 518 blog entries.

[JPI PeaceNet] 시진핑 시기 중국의 동북아 및 한반도 전략과 우리의 대응

동아대학교 교수 중국의 동북아전략은 기본적으로 패권국 미국과의 충돌을 피하면서 미일동맹을 축으로 동맹네트워크의 확산을 통한 미국의 반중 연대를 저지하고 중국의 강대국화를 위한 자국 주도의 우호적 협력환경의 조성을 목표로 하고 있다. 시진핑 시기 사드배치를 둘러싼 한국과의 갈등 시기에도 중국은 미국의 미사일 방어체계(MD) 추진이 자국의 대미 핵 억지력을 심각히 훼손하고 자국에 불리한 역내 안보 질서를 초래할 것으로 인식하면서도

2021-08-27T17:33:53+09:002020년 5월 6일|

Two years after Panmunjom Declaration and Jeju’s role in inter-Korean Relations

This year marks the 30th anniversary since Germans saw the Federal Republic of Germany and the German Democratic Republic unite as one nation. Europe already underwent changes a generation ago when the Soviet collapsed and Eastern Europe has been in many people’s travel bucket lists for a long time before the Coronavirus pandemic.

2020-05-24T14:44:23+09:002020년 4월 28일|

[JPI PeaceNet] 왜 일본 정부는 코로나19 대응에 소극적이었나?

지난 3월 11일 WHO가 결국 코로나19 바이러스 감염증에 대한 ‘팬데믹’ 선언을 했다. 최근 2주 사이에 중국 외 지역에서 발생한 코로나 19 확진자가 13배 늘어나고, 피해국도 3배 이상 증가하면서, WHO는 공식적으로 바이러스의 전 세계 확산을 인정하게 된 것이다. 팬데믹 선언 전까지 WHO는 확진자 증가 속도가 빠른 한국, 이탈리아, 이란 세 나라를 예의주시하였다.

2021-08-27T17:33:57+09:002020년 4월 6일|

[JPI PeaceNet] 유럽은 코로나19에 어떻게 대응하고 있을까?: 도전과 과제

지난 3월 11일 WHO가 결국 코로나19 바이러스 감염증에 대한 ‘팬데믹’ 선언을 했다. 최근 2주 사이에 중국 외 지역에서 발생한 코로나 19 확진자가 13배 늘어나고, 피해국도 3배 이상 증가하면서, WHO는 공식적으로 바이러스의 전 세계 확산을 인정하게 된 것이다. 팬데믹 선언 전까지 WHO는 확진자 증가 속도가 빠른 한국, 이탈리아, 이란 세 나라를 예의주시하였다.

2021-08-27T17:34:01+09:002020년 4월 4일|

한국형 공공외교 모델의 모색 – 정책네트워크를 활용한 맞춤형, 과학적 공공외교 –

국제적으로 확장된 우리나라의 국익을 보호하고 증진하기 위해서 전통적인 정부간 외교뿐만 아니라 외국의 공중을 대상으로 하는 공공외교의 역할이 점차 중요해지고 있다. 그런데 공공외교의 중요성은 일률적인 것이 아니라 국가별, 지역별로 다르다는 점에 주의하고, 대상 국가와 지역, 그리고 무엇보다도 대상이 되는 외국 공중의 특성을 정확하게 파악하고 그에 맞추어 공공외교를 수행할 필요가 있다.

2020-06-23T17:02:04+09:002020년 4월 3일|

유럽회의주의와 유럽의회 선거 이후의 전망과 과제

유럽회의주의(Euroscepticism)는 유럽통합 과정에서 유럽의 확대 및 심화에 대한 반발로 드러난 현상이다. 유럽회의주의는 학문 영역에서 다양한 개념으로 논의되고 있으나, 2008~2009년 금융위기 이후, ‘민주주의 결핍’이라는 차원에서 새로운 양상으로 전개되고 있다. 이런 맥락에서 유권자들에 의해 정책 결정자들이 선택되는 유럽의회는 관심의 초점이 될 수밖에 없다.

2020-06-23T17:03:45+09:002020년 4월 3일|

Current Trends and the Outlook for Peace Research (printed in KOREAN)

본 고는 유럽 평화연구를 중심으로 평화연구의 추이를 살펴보고 한국의 평화연구 기관이 앞으로의 연구활동에 있어 고려해야할 점들에 대해 보다 많은 토론의 의제를 제시하는데에 주안점을 두고 작성되었다.

2020-06-23T17:09:05+09:002020년 4월 3일|

Action Plans of Jeju for Inter-Korean Cooperation (printed in Korean)

이 글은 제주도의 대북교류협력에 대한 지금까지의 실적과 현황을 살펴보고 그 문제점을 점검하는 한편, 차별성 있는 남북교류협력 사업을 선택해서 모든 역량을 모아 집중 추진해나가는 새로운 이정표를 세우기 위한 작업의 일환이라 하겠다.

2020-06-23T17:11:56+09:002020년 4월 3일|

The Current State of Regional Political Dynamics in Northeast Asia: Opportunities and Challenges (printed in Korean)

이 글은 이러한 두 변수 중 관련 당사국의 문제보다는 최근 국제환경에서의 추세에 주목하여 갈등과 협력의 측면에서 향후 한반도와 동북아의 안정과 평화의 문제에 대한 개략적인 전망을 시도해본다. 이를 위해 국제정치학에서  통용되는 협력과 평화에 대한 여러 시각을 간략히 살펴보고, 이를 토대로 현재 동북아 지역의 국제환경을 진단한다. 

2020-06-23T17:17:14+09:002020년 4월 3일|

Is War Still Useful for State-making and State-consolidation?

This essay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war as an external threat and its effects on state consolidation. Most of the scholars who analyzed European history support the thesis that war played an important role in state-making (as we can see through Huntington, Tilly, Giddens, Migdal, Herbst, Hall and Mann).

2020-06-23T17:25:41+09:002020년 4월 3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