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리자

About 제주평화연구원

This author has not yet filled in any details.
So far 제주평화연구원 has created 806 blog entries.

[JPI PeaceNet] 확장억지 강화의 오랜 노력과 성과: 새 부대에 담긴 명품 술을 위하여

2023년 4월 한미 정상회담은 12년 만의 국빈방문이었고, 확장억지 관련해 많은 성과를 가져왔다. NCG 등의 성과는 대북 확장억지 강화에 상당히 기여할 것이며, 북한 핵능력이 점차 강화되는 상황에서 한국의 안보에 크게 기여할 것이다. 하지만 이와 같은 “성과”는 이미 1953년 이후 작동하였던 미국이 한국에 제공하였던 대북 확장억지력의 일종으로, 완전히 새로운 것은 아니다. 1978년 SCM에서 미국은 한국에 대한 핵우산을 명시적으로 선언하였고, 2006년 SCM에서도 반복되었다. 2010년 한미 양국은 EDPC와 KIDD 등의 제도적 장치를 구축하여 확장억지를 협의하는 채널을 구축하였으며, 이후 이것은 EDSCG로 진화하였다. 이러한 측면에서 NCG와 확장억지 강화 조치는 새 술이 아니라 헌 술이며, 그 헌 술은 이미 그 효과가 증명되었고 매우 효과적이며 잘 작동하는 명품 술(名酒)이다. 지금까지의 노력이 오래된 명품 술을 계속 새로운 부대에 담으면서 술병을 바꾸는데 집중하였다면, 이제는 술병이 아니라 명품 술을 어떻게 잘 활용할 것인가에 관심을 기울여야 한다. 중요한 것은 새로운 술병을 마련하고 부대를 장만하는 것이 아니라, 그 내용을 한국의 안보에 더욱 도움이 되는 중요한 안전장치로 발전시키는 것이다. 이제 확장억지 강화에 대한 본격적인 논의가 필요하다.

2023-06-27T11:00:36+09:002023년 5월 26일|

[JPI PeaceNet] 한미동맹의 진화: 에너지 및 기후·환경 분야의 협력을 중심으로

에너지 및 기후·환경 분야는 이미 미국과 중국의 기술 패권을 둘러싼 전장이 되었다. 이런 국면에서 현 윤석열 정부는 미국과의 경제 안보 동맹 강화를 기본 정책 기조로 삼고 미국 주도의 공급망 재편 과정에서 미국과의 협력을 강화하고 있다. 한미동맹 70주년을 맞아 진행된 윤 대통령의 국빈 방문을 계기로 한미 간에 에너지 및 기후·환경 관련해서는 다음과 같은 합의들이 도출되었다. 첫째, 한·미는 파리협정에 기반을 두고 양국이 내건 국가별온실가스감축목표와 2050 탄소중립 목표를 재확인하였다. 둘째, 신재생에너지 부문과 함께 수송 부문의 탈탄소화 기술 분야에서도 협력하기로 하였다. 셋째, 양국이 에너지 안보 위기 극복과 탄소중립 목표 달성의 중요한 요소로서 원자력에너지의 중요성을 재확인하고 서로의 수출 통제 규정과 지식재산권을 존중하면서 민간 원자력 협력을 강화하기로 하였다. 이렇게 한미 정상 간의 회담을 통해 큰 틀에서 협력의 방향이 설정되었긴 하지만, 협력을 강화하는 과정에서 양국의 이해가 충돌할 소지는 있다. 따라서 우리 정부는 계속해서 우리 기업과 국내 생산라인에 미치는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한국의 경제가 건재한 것이 미국의 전략적 이익에도 부합한다는 논리로 미국을 설득하며 세부적인 정책 조율에 최선을 다해야 하겠다.

2023-05-16T11:16:57+09:002023년 5월 12일|

[JPI PeaceNet] 인구 고령화가 국가의 대외정책에 미치는 영향과 한국에 주는 함의

인구 고령화는 크게 두 가지 방식으로 국가의 대외정책에 영향을 줄 수 있다. 인구 고령화로 인해 국가는 이웃국과의 갈등과 분쟁을 피하고 평화로운 성향을 드러내게 되는가 하면 반대로 공격적인 성향을 나타내기도 한다는 것이다. 한국, 일본, 중국을 비롯한 동아시아 국가는 모두 인구 고령화가 빠른 속도로 진행되고 있다. 반면에 미국은 강대국들 가운데 인구 고령화가 가장 더디게 진행되고 있다. 따라서 현재 진행되고 있는 세계패권 경쟁에서 미국이 유리한 고지를 점하고 있다는 전망도 존재한다. 다만 국가는 인구 고령화 등으로 인해 국력쇠퇴가 시작되기 전에 국제체제를 자신에게 유리하게 재편하기 위해 공세적으로 행동할 수 있기에 중국 또한 점점 공격적인 행보를 보일 수 있다는 전망도 있다. 하지만 인구 고령화가 계속해서 진행된다면 결국 동아시아에서는 인구 고령화, 이로 인한 각국의 군사력 감퇴 등으로 인해 평화가 도래할 것이라는 전망도 있다. 한국 역시 인구 고령화가 가장 빠르게 진행되고 있는 국가 중 하나이다. 이에 한국정부는 대외정책 수립 과정에서 인구 고령화를 고려해야할 시기가 점점 다가오고 있다고 볼 수 있다.

2023-04-05T16:52:29+09:002023년 4월 5일|

[JPI PeaceNet] 한일 인적 교류 내실화를 위한 소고(小考) : 통계적 착시를 넘어

코로나 팬데믹 이전 한일 인적 교류 1,000만 시대에 들었던 양국 간 인적 교류는 역사·경제·안보 분야에서의 복합적 관계 악화, 한국에서의 반일시위와 여행보이콧, 코로나19의 여파로 사실상 중단된 바 다름없었으나, 최근 한일관계 개선 분위기와 함께 점차 증가하고 있다. 이와 같은 인적교류의 증가는 한일관계 개선을 위한 긍정적인 흐름이지만, 수치가 주는 통계적 착시 현상에 유념할 필요가 있다. 실제로 코로나 팬데믹 이전인 2018년까지 20년간의 한일 인적 교류추이를 살펴보면, 방일 한국인에 비해 방한 일본인 비율은 급속하게 감소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1990년대 후반 47%에 육박했던 방한 외국인 대비 방한 일본인의 비율은 20년 후에는 20% 이하(최저 13.3%, 2016년)로 감소하였다. 더욱이, 장기 교류에 해당하는 한일 양국 유학생의 비율도 점차 감소하고 있으며, 양국의 취업자의 비율은 재일한국인 노동자 약 4%, 재한일본인 노동자 약 1%에 불과하다. 이와 같은 상황 속에서 양국간의 인적 교류는 단순히 수치 증가를 넘어 교류의 본질적 의미를 살릴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할 수 있어야 할 것이다. 인적 교류는 국가 간 관계 형성의 기초이자, 촉매제이며, 양국 갈등을 완화시킬 수 있는 완충제 역할을 할 수 있기 때문이다. 한일관계 개선과 코로나 팬데믹 완화 속에서 새로운 전환점을 맞는 한일교류가 보다 내실있는 교류가 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2023-03-27T17:11:13+09:002023년 3월 27일|

[JPI PeaceNet] 한일 관계의 대칭성과 상호 협력 방안

2022년 3월에 치른 한국 대통령 선거에서 윤석열 정부가 출범했다. 그리고 한일 간 최대 현안이었던 강제 동원 피해자 배상 판결에 대해, 한국 정부는 적극적인 해결 움직임을 보였다. 일본 역시 한국과의 관계 개선 의지에 적극적이다. 한일 관계 개선을 위해, 우선 양국 관계의 구조 변화를 이해할 필요가 있다. 한일 관계는 비대칭적 구조에서 대칭적 구조로 변화했다. 비대칭적 관계에서 한국과 일본은 상호 보완적이었다. 일본은 한국의 경제 성장을 지원했고, 한국은 냉전 시기 한반도의 안정과 평화라는 측면에서 일본에 도움이 되었다. 그런데 한일 관계가 한국의 국력 확대, 민주주의로의 정치 발전에 따라 대칭적 관계로 변화했다. 이에 따라 한일 관계에서 경쟁과 갈등 요소가 부각되었다. 한일 관계 개선을 위해선 이러한 대칭적 관계 변화에 적응해야 할 필요성이 있다. 최근 국제정세에서 한일 양국의 협력 필요성이 확대되고 있다는 점은 양국 관계 개선의 긍정적 요인이다. 윤석열 정부는 대북 정책, 인도-태평양 전략에서 일본과 유사한 입장을 갖고 있다. 한일 간 공통 분모가 많아졌기 때문에, 협력의 영역도 그만큼 확대된 것이다. 이는 한일 양국 관계 개선의 원동력이다. 미중 전략 경쟁, 북한의 안보적 위협 등에 대해 한일 양국은 협력의 유인이 크다. 미중 전략 경쟁으로 인한 피해가 한일 양국에 미치지 않도록, 한국과 일본이 외교적으로 협력할 수도 있다. 지난 20세기 일본이 한반도를 침략한 역사가 있었지만, 한일 협력을 통해 이룩한 성과들도 있었다. 한일 양국은 공동의 협력을 통해 국제적 평화라는 공공재를 제공할 수 있음을 인식해야 한다.

2023-03-08T11:15:34+09:002023년 3월 8일|

[JPI PeaceNet] 우크라이나 전쟁 1주년: 민주주의와 평화

우크라이나 전쟁이 발발했을 때, 러시아가 고전할 것이라고 예상한 전문가는 거의 없었다. 그런데 전쟁 초기 우크라이나 수도 키이우는 러시아군에 함락 직전까지 갔었지만, 1년 후 러시아는 우크라이나 군에 밀려나 우크라이나 동부 일부 지역에서 고전하는 상황에 처했다. 우크라이나 전쟁에서 강력한 군사력을 갖고 있는 권위주의 국가가 민주주의 국가에 손쉽게 승리를 거두기 어렵다는 사실을 보여주다. 이는 두 가지 차원에서 분석 가능하다. 첫째, 민주주의 국가가 방어전에서 군사안보적으로 유리하다는 것이다. 민주주의에 대한 신념이 드론, 휴대용 대전차 무기라는 군사 기술의 발전과 결부되어, 민주주의 국가는 강력한 군사적 방어 역량을 제고할 수 있었다. 둘째, 권위주의 국가의 군은 전쟁 수행에서 취약성을 드러낼 수 있다는 점이다. 독재자가 군의 위협을 차단하기 위한 조치들이 군의 지휘체계의 비효율성을 가져오기 쉽다. 이러한 전쟁의 교훈은 권위주의 국가가 민주주의 국가에 전쟁을 일으키지 않도록 억지하는 효과를 가져올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그리고 우리 정부는 민주적 가치를 존중하는 외교 정책을 견지함으로써, 권위주의 국가의 공세적 대외 정책을 억지할 필요가 있다.

2023-02-23T17:25:21+09:002023년 2월 23일|

2022 한중일의 대 아세안 관계의 변화와 한-아세안 협력의 미래

한국은 강대국 중심 외교로부터 외교 다변화를 추구하기 위해 아세안과의 협력을 높이고자 하고 있다. 2017년부터 실시된 신남방정책은 아세안과 인도와의 협력을 증진하기 위한 대표적인 정책이며 최근 윤석열 대통령은 한국의 인태전략의 큰 틀 안에서 아세안과 심화된 협력을 추구하기 위해 ‘한-아세안 연대구상(Korea-ASEAN Solidarity Initiative)’을 발표하였다. 한편 중국은 1991년 아세안과 대화관계 수립 후 2003년 아세안-중국관계를 전략적 동반자관계로 격상시켰으며, 작년에는 '포괄적 전략적 동반자 관계'로 격상하는 데 합의했다. 2010년 중국-아세안 FTA 이후 교역 및 투자가 급증하고 있으며 일대일로 구상(Belt and Road Initiative)의 대규모 협력사업을 통해 아세안에 대한 영향력을 확대하고 있다. 일본은 아세안지역에서 매우 오랫동안 매우 큰 영향력을 가지고 있으며 최근 일본의 대아세안 정책은 부상하는 중국에 대응하고 이를 견제하고자 하는 광범위한 전략의 중요 부분을 이루고 있다. 중국, 일본, 또는 한국의 대아세안 정책 각각에 대해 연구한 논문들은 상당수 존재하지만 정책을 서로 비교한 연구는 상대적으로 많지 않다. 본 연구는 한국과 중국, 일본의 대 아세안 정책을 외교, 경제, 안보의 분야에서 비교해보고 언론기사 빅데이터와 설문조사 분석 결과를 통해 아세안의 한중일 관계와 국민들의 인식을 살펴본다. 마지막으로 한국과 아세안 협력관계의 발전을 위해 어떠한 정책과 전략이 필요한지 논해보고자 한다.

2023-02-17T16:17:46+09:002023년 2월 17일|

2022 미중전략경쟁의 변환과 경제안보 시대의 도래: 포스트 워싱턴 컨센서스의 안보적 전회

이 글은 미중전략경쟁을 배경으로 등장한 경제안보가 새로운 정치경제패러다임으로서 부상하였으며 이는 탈냉전시기 국제경제 거버넌스였던 워싱턴 컨센서스가 안보적으로 전회하였음을 의미한다고 주장한다. 경제안보는 경제문제의 안보화(securitization)을 의미한 다. 경제안보의 부상으로 인해 탈냉전 시기 정경분리 원칙은 폐기되었으며 포스트 워싱턴 컨센서스는 정치와 경제의 연계, 경제와 안보의 연계를 추구하는 방향으로 변환되었다. 이러한 변환은 미국의 위협인식의 변화에 주로 기반한다. 하지만 미국의 새로운 위협인식이 대외정책으로 투사되기 위해서는 국내 정치의 변화를 겪어야만 했다. 세계화의 가장 큰 수혜자인 중국의 추격이 2008년 금융위기 이후 현실화되었지만, 정치적 민주주의와 경제적 자유주의를 체제로서의 역사적 종언으로 보는 자유주의적 인식의 관성이 유지되었고 중국에 대한 관여는 2010년대 중반까지도 지속되었다. 러스트벨트의 지지를 바탕으로 한 트럼프의 집권 이후에야 미중전략경쟁은 변곡점을 지나서 새로운 차원의 대결구도로 변환되었다. 특히, 코로나 팬데믹과 우크라이나 전쟁으로 인해 글로벌공급망이 충격을 받게 되어 경제안보 문제는 지구 차원으로 더 많은 국가의 최우선대외정책이슈로 등장하게 되었다. 경제 문제의 안보화의 계절은 워싱턴 컨센서스 하의 번영의 계절에서 생존의 계절로 전환되고 있음을 의미한다. 국제정치경제의 현실패러다임이 변환되고 있는 이 시점에 이러한 변환이 우리에게 생존과 번영을 위해 무엇을 요구하는지에 대한 새로운 인식과 행동이 필요하다.

2023-02-17T16:11:58+09:002023년 2월 17일|

2022 미중 관계의 변화가 한반도 평화에 미치는 영향: 빅데이터와 통계분석을 활용한 연구

오늘날 미중 간의 패권 경쟁은 나날이 격해지고 있다. 두 강대국은 정치, 경제, 외교, 안보, 기술 등의 분야에서 경쟁하고 있으며 남중국해, 동중국해, 대만해협, 한반도 등 지역에서 대립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이는 21세기 들어 미중 간 힘의 격차가 급격한 속도로 줄어들고 있다는데서 그 근본원인을 찾을 수 있을 것이다. 미중 두 강대국 간의 관계 변화에 우리가 주목해야 하는 이유는 이 요인이 한반도와 남북관계에도 영향을 주게 될 것이기 때문이다. 한국은 미중 두 국가 모두와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다. 또한, 한국은 미국과 오랜 기간 군사동맹국이었으나 중국은 한국의 제1위 교역국이다. 한편, 북한은 중국과 냉전이 끝난 이후에도 긴밀한 관계를 맺고 있으며 미국과는 북핵문제를 놓고 끊임없이 협상을 시도하는 중이다. 이처럼 긴밀하게 연결되어 있는 네 국가는 언제든지 서로 간의 갈등에 인해 상대방 국가들도 연루될 수 있는 상황에 놓여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 연구를 통해 과연 미중 간 갈등/협력 관계가 남북관계에 긍정 혹은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분석을 시행하고자 한다. 기간은 1990년부터 2021년으로 한정할 것이며 미중 관계와 남북관계 변화 양상은 언론기사를 기반으로 한 빅데이터인 GDELT를 이용해 측정하고자 한다. 또한, 회귀분석 결과와 더불어 텍스트 분석을 통해서도 미중관계가 남북관계에 영향을 주는지를 살펴보도록 하겠다. 통계분석 결과 미중 관계는 미국 내 대중여론, 미국 집권당, 미국의 대중무역 흑자량, 미중간 힘의 격차 변화 등에 의해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이 가운데 남북관계에는 미중관계의 긍정/부정 여부 보다는 미중 간 힘의 격차가 영향을 주는 것으로 드러났다. 본 연구결과는 한국정부가 남북관계를 긍정적으로 유지하기 위해서는 미중 간 힘의 변화에 주목하여 대북정책을 준비해야 함을 시사한다고 볼 수 있다.

2023-02-17T15:58:59+09:002023년 2월 17일|

2022 JEJU FORUM JOURNAL Vol.2

The Jeju Forum for Peace and Prosperity, which the Jeju Peace Institute (JPI) annually organizes, is an important opportunity for scholars, political leaders, diplomats, and activists from around the world to discuss current issues regarding peace, prosperity, and multilateralism; it gives our scholarly activities an important practical anchor as well as a point of reflection.

2023-02-17T15:19:42+09:002023년 2월 17일|